느와르 캐릭터의 대향연
<범죄와의 전쟁 : 나쁜 놈들 전성시대>는 느와르의 ‘가오’, 멋에는 관심이 없고 인물에 집중하는 영화다. 그리고 1980년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그 시대를 이야기하기보단 인물을 통해 시대를 바라보게 만든다. 같은 부산느와르인 <친구>의 시대를 그리는 태도가 향수와 그리움이었다면 <범죄와의 전쟁>은 씁쓸함과 성찰이다. 최익현이란 인물을 통해 바라보는 그 시대를 끊임없이 돌아보게 만든다. 깨진 거울에 비친 최익현처럼.
<범죄와의 전쟁>은 캐릭터로 굴러가는 영화다. 이것은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덕분이다. 배우들의 연기는 영화의 빈 공간을 메우고도 남는다. 누구하나 꼽기도 힘들다. 최민식은 역시 명불허전이며 하정우는 여지없이 무서운 아우라를 내뿜는다. (하정우은 먹는 연기는 최고다. 아 연기가 아닌가...) 조진웅은 제대로 탄력 받은 연기를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장면마다 모든 조연들의 연기도 대단하다. 대사가 없어도 장면 장면을 살아있게 만든다. 모든 배우가 생기 넘치는 연기로 영화를 꽉 채운다. 그야말로 살아있는 느와르 캐릭터의 대향연이 펼쳐진다.
1980년대는 법을 지키고 착실하고 열심히 산다고 성공하는 시대는 아니었다. 가족이 아쉬운 소리안하고 잘 먹고 잘살게 하려고 최익현은 불법과 인맥으로 힘을 얻는다. 그 힘은 최익현이 선물 받은 총으로 표현된다. 언제 들통 날지 모르는 총알 없는 총처럼, 그 힘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알맹이 없는 힘이었다. 살아남기 위해 반달이 된 최익현은 아들딸 잘 키우고 나름대로 넉넉한 가정을 이루어낸다. 최익현의 인생은 승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최익현의 마지막은 뭔가 씁쓸해 보인다. 가족들이 다 모인 돌잔치에서 ‘가족인’ 최형배가 정말 최익현앞에 나타난 것일까. 아니면 ‘가족인’ 최형배를 생각한 것일까. 최익현에게 최형배는 자신의 초라함을 마주보게 하는 깨진 거울이나 다름없다. 최형배의 폭력 앞에서 겁먹은 모습, 총알없는 힘. 최형배는 최익현의 힘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존재다. “내가 이깄다.”라던 그의 인생은 끝까지 지켜져야 하기 때문이다. 생존을 위해 혹은 욕망을 위해 범죄자가 된 많은 이들이 ‘보통사람’이었던 시대. 최익현은 곧 그 시대였다.
(윤종빈 감독은 <대부>의 팬인가보다. 최형배 캐릭터나 가족개념은 <대부>의 흔적처럼 보이고 대놓고 “대부님”이라고 부른다.)
'Theatre moai > film r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차' 끝까지 죄여오는 공포 (0) | 2012.03.11 |
---|---|
'맨 온 렛지' 속아주기엔 엉성한 작전 (0) | 2012.02.29 |
'부러진 화살' 권력의 부조리를 향한 화살 (0) | 2012.01.29 |
'장화신은 고양이' 귀여움 폭발 캐릭터쇼 (0) | 2012.01.14 |
'퍼펙트 게임' 전설 최동원을 위한, 배우 조승우에 의한 (0) | 2011.12.26 |